목록전체 글 (37)
학이시습

문제 설명 다음과 같이 출력하도록 코드를 작성해 주세요. → !@#$%^&*(\'"?:; 문제 링크 작성한 코드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Solu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in = new Scanner(System.in); System.out.println("!@#$%^&*(\\'\"?:;"); } } 풀이 몇몇의 특수문자는 역슬래시(\)를 붙여야 합니다. 특수문자 역슬래시(\), 큰따옴표(")에는 역슬래쉬(\)를 붙여야지 출력이 됩니다. ( \\, \" ) 실행 결과

문제 설명 정수 a와 b가 주어집니다. 각 수를 입력받아 입출력 예와 같은 형식으로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해 보세요. 문제 링크 작성한 코드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Solu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a = sc.nextInt(); int b = sc.nextInt(); System.out.println("a = " + a); System.out.println("b = " + b); } } 풀이 Scanner를 통해 a와 b의 값을 입력받고 System.out.println을 통해 a와 b를 출력합니다. 실행 결과

문제 설명 영어 알파벳으로 이루어진 문자열 str이 주어집니다. 각 알파벳을 대문자는 소문자로 소문자는 대문자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해 보세요. 문제 링크 작성한 코드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Solu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String a = sc.next(); String result = ""; for(int i=0; i

기본 미션 객체: 속성을 가진 자바스크립트의 데이터 타입으로 여러 자료를 다룰 때 사용합니다. 실제로 존재하는 사물..? 속성: 이름과 값으로 구성된 것을 속성이라고 합니다. 메소드: 속성 중에 동작(함수)인 것을 메소드라고 합니다. 선택 미션

Chapter 8 01. 배열의 선언과 사용 배열은 여러 개의 동일한 자료형을 저장할 때 사용됩니다. 배열의 선언 배열도 다른 자료형처럼 선언을 통해서 저장 공간을 확보합니다. 배열의 선언은 다음과 같이 합니다. 자료형 배열명[요소 개수] int ary[5] ← 이렇게 배열을 선언하는 것은 int형 변수 5개를 하나씩 선언하는 거소가 크기가 같습니다. 하지만 메모리에 할당되는 방식이 다릅니다. int형 변수 5개를 하나씩 선언하면 각 변수는 독립덕인 저장 공간을 갖고 각각의 이름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배열은 저장 공간이 연속으로 할당되며 전체 공간의 이름이 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배열의 나누어진 조각을 배열 요소라고 합니다. 배열 요소는 배열명에 첨자를 붙여 사용하며 첨자는 0부터 시작합니다. 배열명..

문제 설명 문자열 str이 주어질 때, str을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해 보세요. 문제 링크 작성한 코드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Solu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String a = sc.next(); System.out.println(a); } } 풀이 스캐너를 사용하기 위한 스캐너 호출 'sc'라는 이름의 스캐너 객체 생성 문자열을 받는 .next() 출력 실행 결과

chapter 함수 01. 함수의 기본 형태 함수를 사용하는 것을 함수 호출이라고 하고, 함수 괄호 내부의 여러 가지 자료들을 매개변수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함수를 호출해서 최종적으로 나오는 결과를 리턴값이라고 부릅니다. 함수는 어떤 형태로든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코드를 실행하는데 문제가 없다면..) 익명 함수 함수는 코드의 집합을 나타내는 자료형이며 기본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function() {} 함수의 자료형은 function이며 함수를 출력하면 f 함수이름() {}라고 출력됩니다. 이름이 붙어있지 않은 함수는 익명 함수라고 표현하고, 이름이 붙어있는 함수를 선언적 함수라고 합니다. 함수를 사용하면 좋은 점 반복되는 코드를 한 번만 정의해놓고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므로 반복 작업을 피할 수 있습니..

chapter 7 01. 함수의 작성과 사용 함수는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 단위입니다. printf나 scanf 함수처럼 프로그램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게 구현되어 있는 함수를 표준 라이브러리 함수라고 합니다. (printf와 scanf 함수는 stdio.h 헤더파일에 들어있음) 함수를 만들 때는 다음 세가지가 중요합니다. 함수 정의 : 함수를 실제 코드로 만드는 것이며 기능을 구현합니다. 함수 호출 : 함수 호출을 해야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함수 선언 : 프로그램의 상단에서 어떤 함수를 사용할 것이라고 컴파일러에 정보를 주는 역할을 합니다. 함수 정의 새로운 함수를 만들 때에는 다음 3가지 질문을 생각하면서 만들면 좋습니다. 함수의 기능에 맞는 이름은 무엇인가? (함수명) 함수가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

문제 설명 정수 리스트 num_list가 주어질 때, 첫 번째로 나오는 음수의 인덱스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음수가 없다면 -1을 return합니다. 문제 링크 작성한 코드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um_list) { int answer = 0; for (int i = 0; i < num_list.length; i++) { if (num_list[i] < 0) { answer = i; break; } else answer = -1; } return answer; } } 풀이 for문을 num_list의 인덱스 길이 만큼 반복 만약 i번째 배열의 값이 0보다 작다면 answer에 인덱스인 i 대입 후 반복문 빠져나오기 ..

chapter 5 01. if문 if문의 기본 형식 if문은 전제인 조건식과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 실행문으로 구성됩니다. if (조건식) { 실행문 } 읽기 쉬운 코드를 위한 규칙 if문은 중괄호를 사용하고 들여쓰기하여 실행문을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행할 문장이 두 문장 이상이면 반드시 중괄호로 묶어야 합니다. if ~ else문 조건을 만족하지 못할 때에도 별도의 실행문이 있으려면 if ~ else문을 씁니다. if (조건문) { 실행문 } else { 실행문 } if ~ else문은 두 실행문 중에 하나만 실행하며, 반드시 하나만 실행되는 구조를 갖습니다. 단 다음 규칙을 지켜야 합니다. if ~ else문의 규칙 if ~ else문의 else조건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실행할 문장이 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