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혼공학습단 (14)
학이시습
Chapter 9 01. 포인터의 기본 개념 메모리의 주소 메모리는 우리가 데이터를 넣고 꺼내 쓰는 공간으로, 사용하기 위해 위치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사용하는 메모리의 위치는 주소 값으로 식별할 수 있습니다. 이 주소 값은 바이트 단위로 구분됩니다. 0부터 시작하고 바이트 단위로 1씩 증가하므로 2바이트 이상의 크기를 갖는 변수는 여러 개의 주소 값에 걸쳐 할당됩니다. 주소 연산자 : & 여기서 주소는 변수가 할당된 메모리의 시작 주소입니다. 주소는 주소 연산자 &를 사용해서 구합니다. 변수의 크기나 메모리에 할당되는 방식은 컴파일러와 운영체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포인터와 간접 참조 연산자 : * 포인터는 주소를 지정하는 변수로 일반 변수와 마찬가지로 선언 후에 사용합니다 포인터가 가리키..
chapter 7 01. 문서 객체 조작하기 HTML 페이지에 있는 html, head, body 등을 HTML 언어에서는 요소라 부르고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이를 문서 객체(document object)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문서 객체를 조작한다'라는 뜻은 'HTML 요소를 조작한다'라는 말과 같습니다. 문서 객체를 조합해서 만든 전체적인 형태를 문서 객체 모델(DOM, Document Object Model)이라 부릅니다. DOMContentLoaded 이벤트 문서 객체를 조작할 때는 DOMContentLoaded 이벤트를 사용합니다. DOMContentLoaded 이벤트는 웹 브라우저가 문서 객체를 모두 읽고 나서 실행하는 이벤트입니다. 문서 객체 가져오기 document.body 코드를 사용하면 문..
기본 미션 객체: 속성을 가진 자바스크립트의 데이터 타입으로 여러 자료를 다룰 때 사용합니다. 실제로 존재하는 사물..? 속성: 이름과 값으로 구성된 것을 속성이라고 합니다. 메소드: 속성 중에 동작(함수)인 것을 메소드라고 합니다. 선택 미션
Chapter 8 01. 배열의 선언과 사용 배열은 여러 개의 동일한 자료형을 저장할 때 사용됩니다. 배열의 선언 배열도 다른 자료형처럼 선언을 통해서 저장 공간을 확보합니다. 배열의 선언은 다음과 같이 합니다. 자료형 배열명[요소 개수] int ary[5] ← 이렇게 배열을 선언하는 것은 int형 변수 5개를 하나씩 선언하는 거소가 크기가 같습니다. 하지만 메모리에 할당되는 방식이 다릅니다. int형 변수 5개를 하나씩 선언하면 각 변수는 독립덕인 저장 공간을 갖고 각각의 이름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배열은 저장 공간이 연속으로 할당되며 전체 공간의 이름이 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배열의 나누어진 조각을 배열 요소라고 합니다. 배열 요소는 배열명에 첨자를 붙여 사용하며 첨자는 0부터 시작합니다. 배열명..
chapter 함수 01. 함수의 기본 형태 함수를 사용하는 것을 함수 호출이라고 하고, 함수 괄호 내부의 여러 가지 자료들을 매개변수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함수를 호출해서 최종적으로 나오는 결과를 리턴값이라고 부릅니다. 함수는 어떤 형태로든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코드를 실행하는데 문제가 없다면..) 익명 함수 함수는 코드의 집합을 나타내는 자료형이며 기본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function() {} 함수의 자료형은 function이며 함수를 출력하면 f 함수이름() {}라고 출력됩니다. 이름이 붙어있지 않은 함수는 익명 함수라고 표현하고, 이름이 붙어있는 함수를 선언적 함수라고 합니다. 함수를 사용하면 좋은 점 반복되는 코드를 한 번만 정의해놓고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므로 반복 작업을 피할 수 있습니..
chapter 7 01. 함수의 작성과 사용 함수는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 단위입니다. printf나 scanf 함수처럼 프로그램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게 구현되어 있는 함수를 표준 라이브러리 함수라고 합니다. (printf와 scanf 함수는 stdio.h 헤더파일에 들어있음) 함수를 만들 때는 다음 세가지가 중요합니다. 함수 정의 : 함수를 실제 코드로 만드는 것이며 기능을 구현합니다. 함수 호출 : 함수 호출을 해야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함수 선언 : 프로그램의 상단에서 어떤 함수를 사용할 것이라고 컴파일러에 정보를 주는 역할을 합니다. 함수 정의 새로운 함수를 만들 때에는 다음 3가지 질문을 생각하면서 만들면 좋습니다. 함수의 기능에 맞는 이름은 무엇인가? (함수명) 함수가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
chapter 5 01. if문 if문의 기본 형식 if문은 전제인 조건식과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 실행문으로 구성됩니다. if (조건식) { 실행문 } 읽기 쉬운 코드를 위한 규칙 if문은 중괄호를 사용하고 들여쓰기하여 실행문을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행할 문장이 두 문장 이상이면 반드시 중괄호로 묶어야 합니다. if ~ else문 조건을 만족하지 못할 때에도 별도의 실행문이 있으려면 if ~ else문을 씁니다. if (조건문) { 실행문 } else { 실행문 } if ~ else문은 두 실행문 중에 하나만 실행하며, 반드시 하나만 실행되는 구조를 갖습니다. 단 다음 규칙을 지켜야 합니다. if ~ else문의 규칙 if ~ else문의 else조건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실행할 문장이 두 ..
chapter 4 01. 배열 배열 만들기 배열은 여러 개의 변수를 한 번에 선언해 다룰 수 있는 자료형입니다. 배열은 대괄호[...]를 새용해 생성하고 내부의 값을 쉼표로 구분해 입력합니다. 배열 내부에 들어 있는 값을 요소(element)라고 합니다. [요소, 요소, 요소, ..., 요소] 배열 요소에 접근하기 배열 각각의 요소에 접근하려면 배열 바로 뒤에 대괄호를 입력하고 그 안에 숫자를 입력하면 됩니다. 요소의 순서를 인덱스라고 하는데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합니다. 배열[인덱스] 대괄호 안에 계산식을 넣을 수 있습니다. 배열 요소 개수 확인하기 배열 내부에 들어 있는 요소의 개수를 확인할 때는 배열의 length 속성을 사용합니다. 배열.length 배열의 마지막 요소를 선택할 때 배열[배열.leg..
Chapter 4 01. 산술 연산자, 관계 연산자, 논리 연산자 산술 연산자와 대입 연산자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는 수학에서도 만히 사용되며(+, - 등), 컴퓨터에서는 가장 중요한 명령어입니다. 산술 연산자에는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나머지(%)가 있습니다. 모두 2개의 피연산자를 사용합니다. 대입 연산자 대입 연산자는 =기호를 사용합니다. 오른쪽 수식의 결과를 왼쪽 변수에 저장합니다. 나누기 연산자와 나머지 연산자 나누기는 / 연산자를 사용합니다. 정수로 연산할 때는 몫을 구하고, 실수로 연산할 때는 소수점까지 구합니다. 증감 연산자 증감 연산자를 사용해서 a = a + 1을 ++a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전위 표기와 후위 표기 증감 연산자의 위치를 ++a처럼 피연..
Chapter 3 01. 변수 변수는 데이터종류에 따라 int(정수), double(실수), char(문자), char배열(문자열)을 사용합니다. 변수 선언 방법 변수 선언하는 방법은 데이터의 종류에 맞는 자료형과 변수명을 나란히 쓰면 됩니다. 자료형 변수명; 변수를 선언한 후 초기화를 안 하고 냅둔(안 쓰는) 메모리를 쓰레기 메모리라고 합니다. 이 쓰레기 값 때문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에 반드시 초기화를 해야 합니다. 초기화는 변수명과 대입 연산자(=), 값을 나란히 쓰면 됩니다. 변수명 = 값; 대입 연산자(=)는 오른쪽 값을 왼쪽의 저장(할당)한다는 의미입니다. 변수 선언과 대입 규칙 중괄호의 블록({}) 안에 변수를 선언하여 선언한 위치부터 블록 끝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컴파일러에 따라 변수..